What to

Why to

  치아교정환자는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이해 구강내 자정작용과 구강위생상태가 저하됩니다. 게다가 교정력으로 치아의 이동과 동통이 발생하여 저작기능이 저하되며 타액분비량도 감소됩니다. 따라서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이 기간 동안(교정장치 장착 전, 유지장치 장착 중도 포함)의 구강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How to

[교정장치 장착 전]

[교정장치 장착 중]

전문가 관리 자가 관리
  • 철거할 수 있는 장치는 철거하고 실시합니다.
  • 탈회부위와 노출된 치근면에는 입자가 미세한 연마제를 이용합니다.
  • 브라켓, 밴드와 치은 사이, 와이어와 치면사이, 총생 부위 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.
  • 설측교정은 특히 관리가 곤란하며 거울로 구강상태를 확인하기도 곤란합니다.
  • 치아의 이동과 장치의 변경에 따라 관리방법도 변화시킵니다.
  • 보호자에 의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.
  • 개인별 구강상태에 따라 연 3~6회정도
  • 성인도 대상
  • 치간칫솔, 치실
  • 소구치는 발치의 적응치가 아닌지 주의합니다.
  • 교정 중에는 러버댐 방습이 곤란하므로 교정장치 장착 전에 실시합니다.
  • 장치를 장착 시 구강관리가 어려운 부위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.
  • 불소치약, 불소용액
 
  • 시험, 사회생활, 업무 스트레스 및 불규칙한 생활 주의
  • 무의식적으로 섭취하는 간식과 음식에 주의
  • 점도가 높은 음식 피하기